보통 엄마, 로라의 육아 블로그

반응형

 

 

영유아 예방접종표 

지원사업 종류, 특징, 예방시기에 대해 자세히 알아봐요

 

 

 

 

 

우리나라는 '어린이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'을 통해, 

만 12세 이하 어린이를 대상으로 총 18가지의 백신을 지원하고 있어요.

 

백신은 왜 맞아야 할까요?

감염병에 걸리게 되면, 우리 몸은 해당 병원균에 대한 면역반응으로 

항체를 만들어 싸우긴 하지만, 위험하고 치명적일 수 있어요.

 

백신을 맞게 되면 감염병의 원인이 되는 세균/바이러스의 독성을

약화시키거나 사멸시켜서 만들어 지는데,

백신 접종을 실시했다면 병원균과 싸울 수 있는 '항체'가 만들어지게 됩니다.

 


 

면역력이 약한 신생아, 아기, 어린이들은 

특히 감염병에 취약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

꼭! 접종 시기에 맞게 예방접종을 실시해줘야 합니다.

 

자, 그렇다면 18가지의 백신은 어떤 것들이 있고,

어떤 것이고, 언제 접종을 실시하는지 알아볼까요!?

 

 


 

백신에 대해 알아봐요

 

 

 

1. B형간염 - HepB

 

 

▶ B형간염은 B형간염 바이러스에 의해 급성/만성으로

간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.

 

식욕부진/피곤/설사/구토/황달과 같은 급성간염 증상이 나타나는데,

만성 B형간염 보유자가 되면 나이가 들면서 만성 간염/간경변/간암 등이

발생할 수 있는 병이에요.

 

▶ 출생 직후 1차, 생후 1개월에 2차, 생후 6개월에 3차 접종을 실시합니다.

 

 

 

2. 결핵 - BCG(피내용)

 

 

▶ 결핵은 공기를 통한 결핵균의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이에요!

주로 폐에 발생하지만, 인체에 모든 장기에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.

 

▶ 결핵 백신은 모든 영/유아를 대상으로

생후 4주 이내까지 접종합니다.

 

▶ 결핵 주사의 종류는 총 2가지가 있는데요.

주사로 접종하는 피내용(BCG)과, 도장 형태로 접종하는 경피용(*)이 있는데,

이 부분은 다음 포스팅에서 집중적으로 비교해드릴게요!

더보기

+ 생후 59개월까지 국가에서 지원합니다!

(단, 생후 3개월 이상 여유아는 TST 결과 음성인 경우에 지원한다고 해요)

 

* 경피용 BCG

국가예방접종사업에서 지원하지 않는 '기타예방접종'이에요.

일반 소아과 등에서 '유료'로 접종 가능합니다.

 

3. 디프테리아, 파상풍, 백일해 - DTaP

 

 

▶ 디프테리아는 인두, 편도에 염증을 일으켜서

호흡장애, 기도폐색, 심근염이 발생할 수도 있는

아주 무서운 균이에요!

 

▶ 파상풍은 신경 독성 물질을 분비해서

근육을 마비시키거나 삼킴장애, 호흡/전신 마비 등을 일으키고,

 

▶ 백일해는 호흡기 염증을 일으켜서

심한 기침발작을 유발하고, 각종 합병증을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.

 

▶ DTap 백신은 모든 영유아를 대상으로 

생후 2/4/6개월에 총 3차 접종을 실시하고

15~18개월, 만 4~6세에 추가 접종하게 돼요!

 

 

4. 파상풍, 디프테리아 - Td

5. 파상풍, 디프테리아, 백일해 - Tdap

 

 

▶ Td와 TDaP은 만 11~12세에 1회 접종을 실시합니다.

 

 

6. 디프테리아, 파상풍, 백일해, 폴리오 - DTap-IPV

7. 디프테리아, 파상풍, 백일해, 폴리오, b형헤모필루스인플루엔자 - DTap-IPV/Hib

 

 

 

8. 폴리오 - IPV

 

 

▶폴리오는 '소아마비'를 이야기하는데요.

보통 감염이 되어도 증상이 안나타나지만, 

일부 척수염/수막염이 발생하거나 팔다리를 움직일 수 없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하는데,

장애가 영구적으로 남거나 호흡근 마비가 있을 때에는 사망을 할 수도 있어요.

 

▶ 모든 영유아를 대상으로 

2/4/6개월에 총 3차 접종, 만 4~6세에 추가 접종을 실시해요.

 

 

 

9. b형헤모필루스인플루엔자 - Hib

 

 

▶ b형 헤모필루스인플루엔자는 뇌수막염, 후두개염, 

폐렴, 관절염, 봉와직염 등 침습성 감염 질환의 원인이 되고,

주로 5세 미만 소아에서 발생한다고 해요!

 

▶ 생후 2/4/6개월에 3차 접종을 실시한 뒤, 

생후 12~15개월에 추가 접종을 실시합니다.

더보기

+ 생후 59개월까지 지원

(만 5세 이상 연령에서는 접종을 권장하지 않는다고 해요.)

 

 

10. 폐렴구균 - PCV(단백결합)

 

 

▶폐렴구균은 급성 중이염, 폐렴 및 균혈증, 수막염 등 

침습성 감염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균 중의 하나라고 해요!

 

▶ 생후 2/4/6개월에 총 3차 접종을 실시한 후, 

생후 12~15개월에 추가 접종을 실시합니다.

 

+ 생후 59개월까지 지원

 

 

11. 홍역, 유행성이하선염, 풍진 - MMR

 

 

▶홍역은 콧물 기침 같은 감기 증상, 결막염 등이 나타나다가

고열과 함께 온몸에 발진이 나타난다고 해요.

 

▶ 유행성이하선염은 '볼거리'라고도 불리는데, 

귀 아래 침샘이 부어오르고 열과 두통이 동반된다고 합니다.

합병증으로 수막염, 뇌염, 청력장애, 고환/난소/췌장염 등을 일으킬 수도 있는

무서운 병 중의 하나에요!

 

▶풍진은 미열, 피부발진, 림프절염이 특징인데요.

관절염 등의 합병증을 일으키기도 합니다.

(임신 중에 풍진바이러스에 감염되면

유산이나 기형을 유발할 수도 있는 무서운 녀석이에요.)

 

▶ 생후 12~15개월에 1차, 

만 4~6세에 2차 접종을 실시합니다. 

 

 

 

12. 수두 - VAR

 

▶ 수두는 소아기에 흔히 발생하는 발진성 질환으로,

수포성 발진이 머리, 얼굴, 몸통 및 사지에 퍼져

가려움증을 유발하고, 발열, 피로 등의 증상이 동반되기도 한다고 해요.

(수두 앓은 후, 통증을 동반하는 대상포진이 나타날 수도 있어요.) 

 

▶ 생후 12~15개월에 1회 접종을 실시합니다.

 

 

13~14. 일본뇌염

 

 

▶ 일본뇌염은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진 

'작은빨간집모기'에 의해 매개되는 감염질환이에요.

 

1) 불활성화 백신 - IJEV

▶ 생후 12~23개월에 1~2차 접종을 실시한 뒤,

24~35개월, 만 6세, 만12세에 추가 접종을 실시합니다. 

 

2) 약독화 생백신 - LJEV

▶ 생후 12~23개월에 1차, 생후 24~35개월에 2차 접종을 실시합니다.

 

 

 

15. A형간염 - HepA

 

▶ A형 간염은 A형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급성 간 질환으로,

고열/권태감/식욕부진/메스꺼움/복통/황달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해요.

 

▶ 생후 12~23개월에 2회 예방접종을 실시합니다.

더보기

+ 2012.1.1. 이후 출생아부터 지원

 

 

16. 사람유두종바이러스 감염증- HPV

 

 

▶사람유두종바이러스는 주로 성 접촉을 통해 전파되는데,

피부/생식기 점막 등을 감염시켜서 남녀 모두에게

생식기 사마귀/관련암 등을 유발할 수 있는 무서운 병입니다.

 

▶만 9~45세에 접종하는 백신으로,

백신에 따라 접종 시작 나이, 횟수, 일정 등이 상이합니다.

 

+ 만 12~26세 여성을 지원한다고 합니다.

 

 

17. 인플루엔자 - IIV

 

 

▶ 생후 6개월 이상 모든 연령이 접종하는 백신으로,

유행주에 따라 접종의 횟수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

접종 전, 보건소나 의료기관을 통해 확인하시는 게 좋습니다. 

 

▶ 인플루엔자는 '독감'이라고도 불리는데요.

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호흡기(코, 인후, 기관지, 폐 등)를 통해 감염되어서 생기고,

일반 감기보다 심한 증상을 앓을 수 있고, 합병증(폐렴 등)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 

18.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- RV

 

 

▶ 로타바이러스는 전 세계 영유아에게서 발생하는

심한 위장관염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로, 

감염 시 구토/설사/발열/복통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고 해요.

 

1) 사람 로타바이러스 백신(로타릭스) RV1

생후 2/4개월에 2차 접종을 실시합니다.

 

2) 사람-소 재배열 로타바이러스 백신(로타텍) RV5

생후 2/4/6개월에 3차 접종을 실시합니다.

 

더보기

+ 가능한 동일 제조사의 백신으로 접종해야 하고,

생후 8개월 0일까지 지원,
※ 단, 1차접종의 경우 생후 14주 6일까지 지원한다고 해요!

 

 

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에 포함되지 않은 백신의 접종 비용은 전액 본인 부담이에요!

(ex. BCG 경피용, DTaP-IPV-HepB-Hib, 일본뇌염 약독화 생백신(이모젭), HPV 9가 등)

 

위 정보는 질병관리청 예방접종도우미 누리집을 통해 작성한 글입니다. 

좀 더 자세하고 정확한 정보를 원하신다면,

예방접종도우미 (kdca.go.kr) 사이트를 참조해주세요 ^^

반응형
반응형

공유하기

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